당원존 자유게시판

갑질을 해도 이정도면 진상 갑질임..

  • 2025-02-22 10:19:05
  • 6 조회
  • 댓글 0
  • 추천 1

화장품 회사로 유명한 한 회사가 있다.

이 회사는 신입사원을 모집 할때..

계약직만 고집을 한다..

그 이유가 해고 하기 쉽기 때문 이란다..

거기에 요즘 화장품 회사는 중국과의 사이가 좋질 않아서 신입 사원이나 경력 사원도 잘 뽑질 않는다고 한다..

그러니..

화장품 회사로 유명한 이 회사에 입사를 희망 하는 젊은이들은 얼마나 애가 타겠습니까?

이런 회사가..

사원을 모집을 하는대 그것도 계약직인대도 모집 인원 보다 70배나 많은 사람이 지원을 하니..

이 회사는 말 그대로 너 아니어도 얼마든지 니가 하는 일을 대신 할 사람이 많아 이러면서..

계약조건이 갑질 수준 이라는것 입니다..

어느정도냐 하면..

신입사원은 무조건 계약직..

그것도 6개월 계약이 기본이고..

계약 갱신은 3번 할수가 있고..

이 3번을 완수 하면..

정규직으로 전환을 해주는대..

전환 비율이 10% 커녕 5%도 않된다고 한다..

그러니..

매년 신입사원을 뽑아도 1년에 정규직으로의 전환이 없거나..

있어도 한두명 이라는 뜻 이다..

나라에서는 출생율이 떨어져서 고민 이라는대..

이런 상황에서 어느 누가 결혼을 해서 애를 낳을수가 있겠는가..

정부에서는 1회성 정책만 내 놓지 말고 기업의 적극적인 협조를 이끓어 내야 한다..

혹은..

힘든 직종의 사람들(영업 회계 보안 이나 청소 건물관리 직종)에게는 회사에서 직접 고용 하는 정규직으로 채용을 하고..

상대적으로 프리랜서가 가능 하고 이직이 쉬운 직종(제품 개발 디자인 특허 법무 직종)은 몇년 단위의 계약을 해서 

힘들고 어려운 직종일수록 회사에서 정규직화 해서 생활의 안전을 마련해 주며..

제품의 개발 디자인 특허출원 같은 창의적인 직종은 보다 유연한 근무를 할수 있도록 계약직 내지 정규직으로의 전환을

유도 할수있는 선택권을 줄수 있는 자율을 보장 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아무리 기업이 이윤이 최고의 덕목이고 목표이지만..

사회적인 공헌과 공적인 측면을 생각해서라도 사원들의 직업적 안정을 위해서라도 초단기 계약직 같은 갑질은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사회에 막 진출한 젊인이들에게 이런 초단기 계약직 밖에는 취업을 할수 밖에 없는 현실을 정부에서는 제도적으로

막아야 하며 비 정규직에 대한 인식을 계약 기간의 보장을 유연하게 할수 있도록 자율권을 기업에 주돼..

상대적으로 힘든 직종이나 인식의 전환을 위한 직종에는 정규직 유도를 권장 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6개월 계약직에 1년에 한두명도 정규직으로 전환을 해주지 않는 회사가 정상적인 회사 입니까..

이런 회사의 갑질은 하지 못하게 해야 하는것이 정부와 노동계가 손을 잡아야할 이유중에 하나 입니다.


댓글

최신글

신고하기
신고 게시물은 삭제되며, 해당 게시물을 올린 유저는 덧글쓰기 및 글쓰기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오니, 그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